홈
공지
지원팀 활동 기록
홈
공지
지원팀 활동 기록
Share
홈
공지
지원팀 활동 기록
✨
지원팀 활동 아카이브
§ 팀 ‘다양성을 섭취 중인 달팽이’의 활동 현재 진행 중입니다. 활동 결과가 접수되는 대로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팀 이름
다양성을 섭취 중인 달팽이
팀 소개
안녕하세요. 저희는 '청년주거권'이라는 주제 속에서 협동조합이라는 형태를 중심으로 '달팽이집'이라는 비영리주거모델을 운영하고있는 단체에서 만난 조합원들의 모임입니다.
저희는 달팽이집에서 '주거권' 아래 놓여져있는 다양한 갈등적인 상황을 '평등문화'를 통해 풀어가며, 또한 나와 다른 상황과 환경에서 살아온 청년/세입자인 이웃 조합원들에게 '다양성'을 주제로 말걸기를 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주거공동체를 만들어가고자 모임을 시작하였습니다.
활동 계획
각자에게 '집'이라는 공간이 갖는 의미는 다르지만, 적어도 온전히 나로 있을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이 집이라고 가정한다면, 현재 저희가 살고있는 달팽이집에는 평등문화약속문이라는 약속이 있고, 관련 교육이 입주 필수 교육이라 누구나 안전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안전 장치인 약속문이 때로는 더 세밀한 이야기를 못하게 막는 벽이 된다고 느낄때가 있습니다. 혹시 내가 건넨 말이 약속문에 어긋난 행동이 아닐까라는 생각에 말걸기를 머뭇거리게 되기도 하고, 이웃의 삶을 이해할 틈이 사라지는 것 같기도 합니다.
24년 4월 지원 팀 <다양성을 섭취 중인 달팽이>
§ 팀 ‘곳곳’의 활동 현재 진행 중입니다. 활동 결과가 접수되는 대로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팀 이름
팀 소개
활동 계획
활동 결과
24년 3월 지원 팀 <곳곳>
팀 이름
생태지평 청년NET.
팀 소개
<생태지평 청년NET.> 상근 5인의 생태지평연구소에서 OB 빼고 YB들이 네트워킹을 구축하고자 만든 활동입니다.
활동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원 없이 자력으로 활동비를 마련하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청년, 환경에 관심이 있는 느슨한 네트워크 구축과 소소한 오프라인 모임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활동 계획
생태지평 청년NET. 모임 참석자 중에는 활동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모임을 1년 동안 운영하면서 각자의 현장에서 모임을 기획하거나, 모임을 기획함으로 각자의 활동 반경을 넓혀나가고픈 활동가분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청년 활동가분들의 차담회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차담회를 시작으로 환경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와 로컬의 청년들이 서로 교류하면서 친구가 되기도, 인싸이트를 얻기도 하는 모임을 만들고 싶습니다. 또한 모든 모임 후기를 외부로 공유하여 관심이 있는 다른 분들도 정보를 얻어가면 좋겠습니다
.
- 모임 주제 1 : 활동가판에서의 청년 활동가 탈주 닌자?
최근 네트워킹에 속한 청년 활동가들의 퇴사 소식이 많습니다. 특히나 열정적으로 활동하던 분들이라 더 걱정과 관심이 갑니다. 퇴사의 배경이 뭘까요? 이 분들은 소셜 섹터를 떠나게 될까요? 무엇이 필요한걸까요?
24년 2월 지원 팀 <생태지평 청년NET.>
팀 이름
일할시도(일단 모여서 할 일을 생각하는 사람들의 도시간 경계를 넘나드는 시도)
팀 소개
팀원은 총 세 명으로, 세 사람은 모두 평화, 인권, 여성, 소수자, 평화, 노동을 키워드로 한 활동에서 교육, 여행, 커뮤니티, 연구, 상담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다양한 역할을 맡아왔습니다.
특히 '
활동가의 활동권
'을 주제로 만들어진 이야기 자리에서 처음 알게되어 현재까지 좋은 활동가 동료로서 관계를 맺어오고 있습니다. 각 구성원은 나이와 직장이 모두 다름에도 오로지 '활동가'라는
연결고리
로 수 년간 알고 지낸 그 어떠한 사이보다 막역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또한 서로의 활동가 친구를 연결하며
은평구
를 기반으로 작은 활동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따로 또 같이 모이는 느슨한 공동체를 만들고 있습니다.
활동 계획
저희 구성원들은 서울, 경기에서 처음 활동가로서의 일을 시작하였으며 현재도 서울, 경기에서 일과 관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각자가 활동하는 분야와 회사는 모두 다르지만, '부캐'들이 모여 가벼운 행사를 만들거나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느슨한 연결망을 계속 가지고 오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서울경기'라는 수도권을 넘어서 로컬에서 대안을 찾고 청년활동의 폭을 확장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고민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도시 바깥의 청년들을 서울, 경기로 초대하여 '청년활동가의 삶'을 주제로 네트워킹 하는 자리를 마련해보고 싶습니다.
24년 1월 지원 팀 <일할시도>